
청년층에게 자산형성 기회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정책형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는 올해 6월 출시가 됩니다.
가입자가 매월 40만 원에서 70만 원까지 적금 계좌에 내면 정부가 월 최대 2만 4천 원을 더해주는 구조인데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소득 있는 청년의 중장기 재산형성을 돕기 위한 청년적금인데요 안정적인 재테크 수단의 관심이 증가해 관심과 인기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요약
연령 조건 | 만 19~34세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 |
소득 조건 | 총 급여 7,500만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 |
월 납입금액 | 40~70만원 | |
납입 기간 | 5년 | |
이자혜택 | 시중금리 + 소득, 납입금에 따라 3~6% 정부 지원금 | |
최대 납입 시 | 원금 4,200만원 + 이자 800만원 |
청년희망적금과의 비교
지난해 2월 출시된 청년희망적금 역시 가입가능 여부 조회에만 200만 명이 몰리며 상당히 인기를 끌었는데요
청년도약계좌 중간발표 주요 Q&A에 나와있는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사업 목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도약계좌에 순차가입(만기* 후 가입)
* 중도해지 포함(청년희망적금 특별 중도해지 요건 해당 시에만 저축장려금 지급, 비과세 적용)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계좌 |
연령조건 | 만 19~34세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
만 19~34세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
소득조건 | 개인소득 6,000만원 또는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월 납입금액 | 최대 70만원 | 최대 50만원 |
납입기간 | 5년 | 2년 |
이자혜택 | 시중금리 +소득,납입금에 따라 3~6% 정부지원금 | 시중금리 + 정부지원금 |
최대 납입 시 | 원금 4,200만원 + 이자 800만원 | 원금 1,200만원 + 이자 985,000원 |
청년도약계좌는 납입기간이 5년인 만큼 구체적인 전략을 세워 만기 시 혜택을 누리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틱이란? 신조어 비틱 뜻 (3) | 2023.03.10 |
---|---|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확대 (2) | 2023.03.09 |
막쥔손금 부자손금 손금보는법 (3) | 2023.03.08 |
보나링에이정 [멀미약,구토,어지러움증 약] (10) | 2023.03.07 |
안티놀 래피드 - 반려견 관절보조제,안티놀래피드 복용방법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