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정보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적금 이란?

김와노 2023. 3. 8. 15:57

청년층에게 자산형성 기회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정책형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는 올해 6월 출시가 됩니다.
가입자가 매월 40만 원에서 70만 원까지 적금 계좌에 내면 정부가 월 최대 2만 4천 원을 더해주는 구조인데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소득 있는 청년의 중장기 재산형성을 돕기 위한 청년적금인데요 안정적인 재테크 수단의 관심이 증가해 관심과 인기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요약

   
연령 조건 만 19~34세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소득 조건 총 급여 7,500만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월 납입금액 40~70만원
납입 기간 5년
이자혜택 시중금리 + 소득, 납입금에 따라 3~6% 정부 지원금
최대 납입 시 원금 4,200만원 + 이자 800만원

 

 

 청년희망적금과의 비교

 

지난해 2월 출시된 청년희망적금 역시 가입가능 여부 조회에만 200만 명이 몰리며 상당히 인기를 끌었는데요 

청년도약계좌 중간발표 주요 Q&A에 나와있는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와 사업 목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도약계좌에 순차가입(만기* 후 가입)
* 중도해지 포함(청년희망적금 특별 중도해지 요건 해당 시에만 저축장려금 지급, 비과세 적용)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계좌
연령조건 만 19~34세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만 19~34세 청년
(병역 이행기간 제외)
소득조건 개인소득 6,000만원 또는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월 납입금액 최대 70만원 최대 50만원
납입기간 5년 2년
이자혜택 시중금리 +소득,납입금에 따라 3~6% 정부지원금 시중금리 + 정부지원금
최대 납입 시 원금 4,200만원 + 이자 800만원 원금 1,200만원 + 이자 985,000원

 

청년도약계좌는 납입기간이 5년인 만큼 구체적인 전략을 세워 만기 시 혜택을 누리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