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소개와 작품해설
이조년은 고려 후기 때의 문신(文臣)으로, 성품이 강직하여 충혜왕의 음탕함을 여러 번 충간하였으나 왕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벼슬을 사직하였다고도 한다.
이 작품은 봄날 밤의 애상적인 정취를 잘 표현하고 있다. 초장에서는 시각적인 이미지가 부각되어 있다. 배꽃이 활짝 핀 어느 봄날 밤, 하늘에는 달이 활짝 뜨고 은하수가 흐르고 있었다. 달빛이 하얀 배꽃에 비치어 더욱 아련하게 보이는 고즈넉한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중장에서는 시각적 이미지가 청각적 이미지로 전환되고 있다. 달빛에 배꽃이 더욱 환한 밤, 두견새의 울음소리가 들려온다. 두견새가 이 밤에 느끼는 봄의 정취를 알고 우는 것은 아니겠지만 두견새의 울음소리로 봄날 밤의 애상적 정취는 더 깊어진다. 종장은 지은이의 입장과 두견새의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은이에게는 아름답고 고즈넉한 봄밤을 홀로 두기 아쉬운 마음에 잠 못 들고 서성이며, 두견새는 봄밤에 자지 않고 혼자 서성이는 지은이를 홀로 두기 아쉬운 마음에 자지 않고 울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를 생각하는 다정한 마음이 병이 되어 잠 못 들고 있는 것이다. 봄날 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잘 표현한 이 작품의 주제는 봄밤의 애상적인 정취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은 지은이가 충혜왕에게 충간하다가 벼슬에서 물러난 후 왕을 걱정하며 그리는 심정을 노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청구영언(靑丘永言)』, 『가곡원류(歌曲源流)』,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등에 실려 있으며, 시조집마다 표기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원문은 『청구영언』의 표기를 따랐다.
작품 원문 및 현대어 해석
배꽃에 달이 밝게 비치고 은하수가 흐르는 깊은 밤에
가지 하나에 깃든 봄의 마음을 두견새가 알겠냐만은
다정한 것도 병이 되어 잠 못 들어 하노라
시어풀이
梨花(이화)에 月白(월백)하고 : 환한 달빛이 배꽃에 비치어 한층 더 하얗게 보이는 것을 표현한 말이다
銀漢(은한) : 은하수.
三更(삼경) : 밤 11시부터 새벽 1시 사이. 한밤중을 이르는 말.
一枝春心(일지춘심) : 나뭇가지에 깃든 봄의 뜻.
子規(자규) : 두견새. 두견새는 중국의 촉(蜀) 나라 망제(望帝)가 죽어서 된 새라고 한다. 망제는 신하를 믿었다가 신하에게
나라를 뺏기고 쫓겨났는데, 망제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여 울다 죽었다고 한다. 문학 작품에서 두견새는 억울하고 슬픈 사
정에 처한 인물을 대변하는 동물로 주로 사용된다.
病인 냥하여 : 병인 것처럼.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이화에 월백하고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고전, 2013. 11., 박인희, 강명관, 위키미디어 커먼즈)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남자뜻 신조어 하남자 (1) | 2023.05.03 |
---|---|
끝말잇기한방단어 끝말잇기한방단어 모음 (0) | 2023.04.25 |
조용필콘서트예매 가왕조용필 데뷔55주년 (1) | 2023.04.21 |
짱구는못말려극장판30기 짱구는못말려 한국개봉 (1) | 2023.04.19 |
내돈내산 슈너글 아기욕조 후기 , 신생아 욕조 슈너글욕조 (1) | 2023.04.18 |